전체 글698 정월 대보름 오곡밥의 곡식 종류와 오곡밥 만드는 방법 한국풍속에서 비중을 크게 차지하고 뜻깊은 날이어서 정월의 보름을 대보름이라 일컬었으며 이날은 오곡밥과 함께 나물 반찬을 해 먹었습니다 또한 예전에 음식이 부족할 때 지방을 보충하기 위해 버스름 깨문다고 해서 호두랑 땅콩도 깼어 먹기도 했습니다 오곡밥이란 밥을 지을때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짓는다 하여 오곡밥 이라 하고 주로 정월 대보름날 먹는다. 한 해 농사가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농사지은 잡곡의 종류 별로 모두 넣어서 밥을 짓는 것을 오곡밥이라 한다. 오곡은 기장, 콩, 조, 보리, 쌀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의 종류를 말하기도 한다. 오곡밥을 찰진 곡식으만 지으려면 검정콩, 붉은팥, 찹쌀, 찰수수, 차조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시루에 쪄서 밥을 짓는다. 정조지에 기록한 오곡밥의 혼합비율은 기장 2되.. 2023. 2. 4. 표고버섯 정의 영양과 효능 차돌박이 표고버섯 볶음 느타리과로 분류되는 버섯으로 향이 좋고 감칠맛이 좋아 생으로 식용하거나 말려서 분말하여 가루로 만들어 천연조미료로 많이 이용한다. 표고버섯이란? 느타리과에 속하는 표고버섯은 떡갈나무와 밤나무 등 죽은 나무에 기생하면서 자라고 향이 좋고 감칠맛이 좋아 여러 음식 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말려서 사용하거나 생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원래는 봄에 파종하여 다음 해 가을부터 수확하지만 요즘은 시설 재배를 주로 하기 때문에 일년 내내 수확이 가능하다. 일본, 중국, 한국에서 많이 먹는 버섯으로 각 지역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표고버섯도 있지만 대부분 시설 재배한 표고버섯을 사용한다. 표고버섯은 생으로 많이 먹기도 하지만 아미노산은 말리는 과정에서 많이 생성되므로 다른 건조한 버섯 보다 상품성이 좋다. 표고버섯 등.. 2023. 2. 3. 서리태 의미와 효능 콩비지찌개 만드는 법 서리태의 껍질은 검은색을로싸여 있지만 속은 파란색으로 10월 경에 서리가 내리고 수확한다. 서리태의 의미 콩껍질은 검은색이고 속은 파란색이라고 하여 속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서리태는 한해살이 식물로 생육기간이 다른식물 보다 길어서 10월에 날씨가 추워지면서 서리가 내린 후에 수확을 할 수 있으며 찬서리를 맞으면서 자란다고 하여 서리태 라는 이름을 붙였다. 밥을 할때 잘 무르고 구수하며 당도가 많아 다른 잡곡들과 함께 밥을 하거나 떡을 만들때 넣어 먹는등 식용으로 많이 쓰인다. 서리태를 폭 삶아서 발효시켜 만든 청국장은 메주콩으로 만든 청국장보다 영양성분도 좋을 뿐만 아니라 맛도 뛰어나다. 오래전부터 한방에서는 검은콩의 효과에 대하여 주목 해 왔는데 노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 체내에 활성산소를 제거해주는.. 2023. 2. 2. 깻잎의 활용과 효능 깻잎 김치 담그는 방법 깻잎은 김치, 장아찌, 나물, 쌈으로 주로 먹는 들깨의 잎 깻잎의 활용 넓게는 참깨, 들깨의 잎사귀를 말하지만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것은 들깨의 잎사귀 식품으로 말한다. 들깨를 재배하는 목적은 잎사귀를 먹으려고 재배하는 것이 아니고 들깨에서 들기름과 들깻가루 등을 얻기 위해 재배하지만 들깨를 수확하기 전까지 자라는 들깨 잎사귀를 식품으로 먹는 것이 깻잎이다. 동남아시아을 원산지로 추정하고 주로 중국과 한국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재배하는 토지는 유기질이 풍부한 땅이 적합하다. 파종시기는 3~5월 사이에 씨앗을 뿌리는 것이 기후 조건에 맞다. 요즘은 재배를 비닐하우스에서 하여 고소득을 올리는 식품의 종류중의 하나이며. 생산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유기농산물 중에 하나이다. 시금치의 2배 이상 철분을 함유하.. 2023. 2. 2. 완전 식품 달걀의 효용성 과 달걀 찜 만들기 달걀은 예로부터 완전식품이라고 하여 병아리가 달걀에서만 영양 성분을 먹고 생명체로 탄생한다. 달걀의 유래 남아시에서 야생의 새로 살던 닭을 사람이 키우기 시작하면서 세계 각지로 널리 전파되었다. 닭은 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고 잘 성장하여 다양한 변종의 닭이 생겼다. 원삼국시대 때 우리나라에서는 닭을 사육하였고, 중국문헌에서는 닭의 명산지를 우리나라 남쪽 지방으로 꼽았다. 달걀 30개가 담겨 있는 토기가 경주 155호 고분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먹었던 것으로 추측한다. 껍질이 두꺼운 달걀이 좋으며 윤이 나는 껍질은 오래된 것이다. 닭의 품종에 따라 달걀 껍데기의 색은 다르지만 영양 성분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완전식품으로 알려진 달걀은 영양성분을 골고루 갖춰져 있으며, 달걀이 함유하고 .. 2023. 2. 1. 시금치 유래와 효능 시금치 된장국 만드는법 시금치는 비타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비타민의 보고라고 한다 시금치의 유래 시금치는 이란에서 시작하여 중동지방에서 재배하다가 이슬람교도가 동서남북으로 전파하였다. 중국에서는 파릉이라고 불렸는데 당나라 때 한 문원에 기록하기를 한 스님이 서역 파릉국에서 그 종자를 가져왔다 하여 유래되었다. 시금치는 차가운 날씨에 잘 나라 10월부터 시작해서 이듬해 4월까지 가장 많이 나지만 일 년 내내 먹을 수 있는 식물로 줄기의 속의 비어 있고 뿌리는 붉은빛을 내는 채소이다. 한국에서는 48종의 시금치를 기르고 있는데 종류가 다양하며 재배하는 방법에 따라 맛이 다르다. 중국을 통하여 중동에서 아시아로 퍼진 동양종과 유럽에서 가져와 개량된 서양종이 있다. 동양종과 서양종을 교배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품종이 요즘 시장에 많이.. 2023. 1. 31. 이전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