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7

고추의 특성과 그효능 손질방법 고추는 가지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풀로 쌍떡잎식물이다 고추의 특성 주로 밭에서 재배하는데 높이는 약 60cm의 식물로 몸 전체에 약간의 털이 나 있다. 잎자루는 길며 잎은 서로 어긋나고 달걀 모양으로 잎이 가늘고 긴 모양으로 양끝이 좁고 톱니가 없는 형태이다. 여름이 되면 잎과 줄기 사이에 흰꽃이 하나씩 피어 난다. 녹색의 꽃받침을 가지고 있으며 꽃은 끝이 5개로 얇게 갈라져서 핀다. 종모양의 꽃부리는 지름 21~18cm로 이루어졌다. 5개의 수술은 가운데 모여 달리며 노란색 꽃밥이 달리고 씨방은 2~3개로 형성 되어 있다. 열매는 원뿔 모양으로 수분이 적고 주로 8~10월 사이에 익어간다. 빨갛게 잘 익은 고추는 말려서 향신료로 사용하며, 동상이나 뇌졸중, 신경통등의 치료도 사용하기도 한다. 풋고추는 쌀.. 2023. 1. 29.
두부의 영양과 유래 만드는 방법 식재료 옛날부터 두부는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불리었다. 누구나 즐기수 있는 통으로 만든 음식이다. 두부의 영양과 유래 우리나라는 두부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 조선시대에는 기술을 일본과 중국에 전해 주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두부를 포라 하였는데 아언각비에서 유래되었다. 두부의 원래 이름은 백아순이었는데 방언이라 생각하여 한국 사람들은 포라고 불렸다. 두부는 한나라의 유안이 회남왕으로 있을 무렵, 기원전 150년 전후에 처음으로 만들어 졌다. 처음 만필순에 기록되었다. 중국의 안휘성 회남시에 유안의 무덤이 두부의 발상지라 하고 두부 발상지라고 적힌 비석이 그 인근에 서 있다. 유안의 생일인 9월 말에 지금도 두부를 처음 만든 나라임을 주장하며 두 부제를 크게 지내고 있다. 일본에 전해 진 시기는 임진왜란 때 최남.. 2023. 1. 28.
양파 그 영양과 효능 식재료 우리나라에서는 요리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양파가 들어간다. 양파란? 서아시아나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추측되지만 아직 야생에서 자란 것이 발견되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다. 재배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기원전 3,000년경 고대 이집트 무덤의 벽화에 피라드를 짓는 인부들에게 마늘과 양파를 먹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스에서는 기원전 7~8세기부터 재배를 하였다. 품종에 따라 비늘줄기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납작하며 둥근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바깥쪽에 얇은 막질(얇은 종이처럼 반투명) 껍질이 자줏빛을 띤 갈색이고 안쪽 비늘은 두껍고 겹겹이 있으며 맵다. 잎은 속이 빈 원통 모양으로 짙은 녹색이며 꽃이 피면 건조하고 밑부분에 두꺼운 비늘 조각으로 이루어다. 9월에 흰색 꽃이 피고 잎 사이에서 산형꽃 차례의 꽃.. 2023. 1. 27.
봄동 영양과 효능 고르는 방법 봄동은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채소중 하나이다. 아삭아삭 한 식감은 반찬과 야채 무침으로 제격이며 비타민과 항산화제가 풍부해 노화방지에 효과 적이다. 봄동이란 추위에 강한 봄동은 겨울 노지에서 파종하여 봄에 수확하는 배추를 말한다. 봄동은 품종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겨울을 나기 위해 노지에서 자라는 배추로 속이 가득 차 있지 않아 결구 형태를 취하지 않고 잎이 옆으로 펴져 있는 것을 말한다, 잎이 땅에 붙어서 자라기 때문에 납작배추, 배추, 거위배추라고도 한다. 달고 아삭 하고 쫄깃한 맛이 잃어버린 봄철 입맛을 돋우는 반찬이나 쌈으로 즐겨 먹는다. 배추보다 약간 두꺼운 편이지만 여리고 부드러우며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씹을수록 감칠맛이 나고 향이 있다. 또한 겨우내 먹던 김장배추보다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2023. 1. 26.
무우,무의 영양과 효능 식재료 손질법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4대 채소 중에 하나인 무 무란 무는 배추, 고추, 마늘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먹는 채소 중의 하나로, 추운 날씨에 노지 재배가 가능해 먹거리가 귀한 겨울을 잘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채소 역할을 하여 왔다. 무는 서늘한 기후에 잘 자라며 무더운 날씨에 약하여 겨울 무는 조직이 단단하며 당분이 많아 어떤 식재료와 잘 어우러져 풍부한 맛을 낸다. 그러나 무더운 날씨에 자란 여름 무는 겨울무에 비해 조직이 연하여 무르기 쉽고 당도가 부족하다. 쓴맛 또한 강한 편이어서 당분을 첨가하여 요리하기도 한다. 당분이 떨어지는 여름철에는 순무, 콜라비등을 무를 대체 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무의 종류 종류 외관 및 용도 월동무 겨울무는 뿌리가 단단하고 덜 맵기 때문에 생.. 2023. 1. 26.
배과실의 이해와 효능 배숙만들기 상큼 한 맛의 배는 3,000년 전부터 자라기 시작했고 배의 맛에 반한 그리스 역사가 호메로스는 배를 신의 선물이라고 불렸다. 기관지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추천했다. 배 과실의 이해 서양배와 중국배 남아시아배로 나뉘는데 각가 생김새와 맛이 다르다. 서양배는 미국, 유럽, 칠레, 호주 등에서 재배되며, 중국배는 중국에서 남아시아배는 주로 한국과 일본에서 재배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한시대부터 배나무를 재배한 기록이 있으며, 조선후기에는 황실배, 청실배 등의 품종이 널리 재배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장십랑과 만삼길을 재배하여 신고 등의 신품종을 보급하였다. 과일의 식용가능한 부분은 약 80%이며 수분은 85~88%, 열량은 약 50kcal이다. 알칼리성 식품으로 탄수화물이 주성분이며 당류(과당, 자당)가 10.. 2023. 1. 25.
반응형